집 사 직 분 론
1. 집사의 기원
1) 집사(deacon)라는 말은 헬라어"디아코노스(Diaconsos)"에서 왔다. 디아코노스란 말이 헬라어 성경에는 30회 사용되었으나, 1611년 번역된 영어 성경에는 5회만 집사(deacon)라고 번역되었다. 디아코노스란 말이 집사(deacon)라고 번역되지 않았을 때에는 일꾼(minister) 또는 종 (servant)으로 번역되었다.
2) "디아코노스"란 "먼지를 통해서"라는 뜻이다. 이 말의 기원은 분명치 않으나 먼지를 일으킨다는 개념은 종이 자기 주인을 섬기거나 시중들기 위해 서두름을 암시한다. 집사의 기원은 사도행전 6장에서 공궤를 일삼는 사람으로 일곱 사람을 선택한 것이 최초의 집사라고 생각한다.
3) 초대 교회 교인들 중에는 돌보아야 할 형제와 과부된 자매가 있었다. 사도들이 그들을 돌보아야 하겠지만 교인들의 증가로 일곱 명을 선출한 것이 집사이다. 그들은 재무와 구제 업무를 맡아 사도들을 도와 일하는 보조자들이다. 이들은 높은 자격이 필요했고 안수도 받은 일꾼이다(행6:6). 이들이 자기 직무를 잘 처리하므로 교회의 친교 정신은 회복되었고 복음 전파는 계속되고 교회는 축복을 받아 크게 성장했다(행6:7). 그러므로 집사는 교회 성직 제도의 하나로 감독, 장로 다음의 성직이다(빌1:1,딤전3:8-12).
2. 집사의 구분
1) 집사는 안수로 임직되는 항존직이다. 이들을 안수집사 또는 장립집사라고 부른다. 안수집사 외에 서리집사가 있는데 그 임기 1년이다. 매년 재임명을 받는다. 집사 직무는 안수집사나 서리집사의 구분이 없으나 선택하는 과정이 다르다. 안수집사는 공동의회에서 선택하여 당회의 시취를 거쳐 안수하므로 임직하지만, 서리집사는 당회에서 선택하여 임명한다.
2) 안수집사 자격은 30세 이상의 남자로서 무흠 세례교인으로 5년을 경과하고 딤전3:8-10에 해당하는 자라야한다. 서리집사는 25세 이상 된 자로 무흠 세례교인으로서 1년을 경과하고 교회에 등록한 후 교인의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한 자 중에서 당회가 임명한다. 서리집사는 임시직이므로 해마다 임명하여야한다.
3. 집사의 직무
1) 사도행전에 의하면 집사의 직무는 사도들이 기도하는 일과 말씀 섬기는 일에만 힘쓰도록 교회의 다른 일을 봉사하여 사도들을 돕는 일이었다. 구체적으로는 매일 구제하는 일이었다(행6:1). 그러나 집사는 구제하는 일과 먹이는 일만 (행 6:2 새번역)하지 않고 영적 지도자로 활약하였으니 스데반과 빌립은 전도자로 봉사한 집사이다.
2) 집사들이 교인을 섬기는 일이나 (행6:1-2), 사도들이 기도와 말씀을 섬기는 일이나(행6:4), 다 같은 봉사이다. 그러나 집사는 사도들의 기도와 선교의 협력자로 선택받은 봉사자이므로 집사는 목사의 보조자이다.
3)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헌법에는 집사의 직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제직회 회원이 되어 교회를 봉사한다: 집사는 예배 시간에 참석하고 제직회에도 참석해야 한다. 집사가 제직회에 참석치 않고서는 교회를 바르게 봉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집사는 제직회에 참석하여 각 부서 보고를 듣고 새로운 계획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래야 교회를 바르게 봉사할 수가 있다.
헌금을 수납한다: 집사의 직무 중의 하나가 헌금을 수납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집사는 헌금으로 주님의 사업에 동참하는 의무와 책임이 있다.
구제에 관한 일을 한다: 집사는 구제의 일을 맡아 보는 자이다. 집사는 노력과 근면으로 생업을 일으켜서 구제 사업에 앞장 서야 한다.
4. 집사의 사명을 잘 감당하는 방법
집사의 직무를 잘 감당하려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에 유의하여야 한다.
1) 목사의 좋은 협력자가 되어야 한다 : 집사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목사의 목회 방침에 협력자가 되는 것이다.
2) 집사는 교인의 모범자가 되어야 한다 : 집사는 교회 생활과 가정생활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
3) 집사는 교회 재정의 좋은 관리자이어야 한다 : 집사는 교회 재정을 살림꾼으로 부름 받은 자이다. 그러므로 집사는 물질에 대하여 바른 생각을 가져야 헌금 관리를 잘 할 수 있다.
4) 집사는 교인의 좋은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 : 교회에는 문제를 지니고 있는 교인들이 있다. 그들 중에는 목사와 상담하기를 꺼려하는 사람도 있고, 또는 용기가 없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때 집사가 그 교인의 친구가 되어 주면 그 사람을 위해서나 교회를 위해서 유익하다. 그러므로 집사들이 적극적으로 교회 일에 참여하여 교인 사이에 친목을 도모하면서 교인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 집사가 교인을 사랑으로 대하면 집사는 신임을 받게 되고 교회는 발전하게 된다.
결론 : “집사의 직을 잘한 자들은 아름다운 지위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에 큰 담력을 얻느니라”(딤전3:13)